1997년 발표된 「부즈-앨런 & 해밀턴 보고서」에서는 한국을 일본과 중국 사이에 끼인 넛크래커와 같은 존재로 비유한 바 있다. 동 보고서는 일본의 경우 첨단고급기술 산업에서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어서 한국이 국가경쟁력을 업그레이드 시키지 않는다면 조만간 중국에도 뒤처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지적하였다.한국경제가 재도약을 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요소투입형 성장에서 탈피하여 혁신에 기반을 둔 발전모델의 구축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은 ‘일자리 창출’과 ‘성장동력 강화’를 통한 혁신주도형 경제로의 이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서는 한국경제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저자를 비롯한 여러 학자들의 시각과 논리, 그리고 관련참고문헌과 자료를 될 수 있는 대로 다양하게 소개하고 있다.
차례
제1편 한국경제의 동향과 전망
제1장 한국경제의 동향
제2장 한국경제의 전망
제2편 한국의 주요 산업 분석
제3장 산업총관
제4장 반도체산업
제5장 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서비스 산업
제6장 자동차 및 조선산업
제7장 일반기계 및 철강산업
제8장 석유화학 및 가전산업
제3편 한국경제의 주요 이슈
제9장 중소기업 인력난
제10장 산업공동화
제11장 수출고도화에 대한 진단
제12장 주력 수출시장 분석
제13장 BRICs 진출 분석
제14장 외환보유고의 적정성
제15장 차세대 성장동력 확보
제16장 인적자본 육성과 대외개방도 제고
제17장 글로벌 경쟁력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