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판의 전체적 구성은 이전과 크게 다르지 않다. 제1부는 범죄현상의 개론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현대사회의 특성과 범죄현상, 범죄개념 및 범죄현상의 파악을 포괄적으로 다룬다. 제2부에서 다루는 내용은 범죄원인론이다. 범죄원인에 대한 시각을 생물/심리 이론, 미시사회이론, 거시이론으로 구분하여 범죄를 유발하는 원인들을 상세히 검토한다. 제3부는 각론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사회구성원들이 특히 우려하는 주요범죄를 살인범죄, 폭력범죄, 성범죄와 성일탈, 강도․절도․사기범죄, 약물범죄, 사이버범죄, 조직범죄로 구분하고 각 주요범죄의 성격과 발생현황 그리고 대처방안을 살펴본다. 제4부에서 다루는 내용은 범죄대책론이다. 여기서는 범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범죄예방의 의의와 방법, 범죄자 처리와 관련된 형사사법절차, 범죄자의 교화개선을 도모하는 교정과 사회복귀제도를 검토한다.